본문 바로가기
연말정산 & 직장인 절세

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전략 – 공제 나누기만 잘해도 환급이 달라진다

by 세금노트 2025. 5. 1.
728x90
BIG


맞벌이 부부라면 연말정산을 따로 하는 게 유리할까?

부양가족 공제, 의료비, 연금저축 등 항목별로 공제를 나누는 전략을 정리했습니다.


맞벌이 부부라면
연말정산에서 더 많은 고민이 생깁니다.

“공제를 누가 받는 게 좋을까?”
“부모님 공제는 남편이? 아내가?”
“연금저축도 중복되면 안 되지 않나?”

이런 고민은
공제를 잘못 나눴을 때 환급이 줄거나, 오히려 세금을 더 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
이번 글에서는
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 전략을 항목별로 나누어
실제 절세 효과가 나도록 정리해드릴게요.


1. 맞벌이 부부, 왜 전략이 필요한가?

부양가족, 의료비, 교육비, 연금저축 등
대부분의 공제 항목은 한 사람이 대표로 받는 구조입니다.

이유설명
중복 적용 불가 같은 항목을 부부가 동시에 공제받을 수 없음
유리한 사람에게 몰아야 소득 수준에 따라 공제 효과가 달라짐
세액공제 vs 소득공제 어떤 항목을 누가 받느냐에 따라 환급액 차이 발생

▶ 소득이 더 많은 사람이 유리한 공제,
소득이 적은 사람이 유리한 공제를 구분해서
전략적으로 나누는 게 핵심입니다.


2. 항목별로 어떻게 나눠야 유리할까?

✅ 기본공제 / 부양가족 공제

  • 부모님, 자녀 등 부양가족은 한 명만 공제 가능
  • 원칙적으로 실제 부양한 사람에게 공제 권리가 있음

전략:

  • 소득이 많은 쪽이 공제받는 것이 세금 절감 효과 큼
  • 단, 부모님 소득요건(연 100만 원 이하) 확인 필수

✅ 의료비 공제

  • 총급여의 3% 초과 금액만 공제 가능
  • 예: 연봉 5,000만 원 → 150만 원 초과분부터 공제 가능

전략:

  • 의료비가 적을 경우 → 연봉 낮은 배우자가 공제받는 게 유리
  • 의료비가 많은 경우 → 고소득자가 공제해도 의미 있음

▶ 의료비 총액과 각자 급여수준 비교 후 결정해야 함


✅ 연금저축 / IRP

  • 연금저축: 연 최대 400만 원 세액공제
  • IRP 포함 시 최대 700만 원까지 가능
  • 세액공제율: 13.2% 또는 16.5%

전략:

  • 연금저축은 부부 각각 가입 가능 → 공제도 각자 받기
  • 소득 적은 배우자가 공제 시, 세액공제율 더 높을 수 있음

✅ 신용카드 공제

  • 총급여의 25% 초과 사용분부터 공제
  • 공제 한도: 최대 300만 원 (체크카드 등 포함 시 600만 원까지)

전략:

  • 카드 사용액이 많은 사람이 받는 게 유리
  • 하지만 총급여의 25% 넘지 않으면 공제 자체가 불가능하니
    한 명에게 몰아서 사용하는 전략도 가능

✅ 기부금 공제

  • 법정기부금, 지정기부금 등
  • 세액공제율: 15~30%
  • 부부 중 한 명만 공제 가능

전략:

  • 세액공제 항목이므로 고소득자보다
    → 세금 납부가 발생하는 사람이 받는 게 유리
  • 소득이 적어 세금 자체가 없으면 공제 무의미

3. 실제 사례로 보는 전략 차이

A 부부

  • 남편 연봉: 6,500만 원
  • 아내 연봉: 3,200만 원
  • 자녀 2명, 부모님 1명 부양
  • 연금저축: 남편 400만 원, 아내 없음
  • 의료비: 총 210만 원 (자녀 포함)
  • 카드 사용: 남편 1,200만 원, 아내 600만 원
  • 기부금: 100만 원 (부부 공동 명의)

▶ 공제 전략 정리

항목공제 받을 사람이유
부모님 남편 고소득자에게 몰아주기
자녀 남편 기본공제 자동 적용
의료비 아내 연봉 낮아 3% 기준 초과 빠름
연금저축 남편 본인 가입 → 자동 적용
기부금 아내 세액공제율 동일, 절세 구조 맞음
카드 남편 사용액 많고 25% 기준 넘음

결과:

  • 분산 없이 모두 남편에게 몰아준 경우보다
  • 항목별로 전략적으로 나눈 쪽이 약 43만 원 더 환급

4. 체크리스트 – 연말정산 전 부부가 꼭 점검할 것

✅ 부양가족 중복 공제 여부
✅ 의료비 지출 누가 더 했는지
✅ 연금저축, IRP 가입 여부와 한도
✅ 카드 사용액과 급여 기준 비교
✅ 기부금 수취인 명의 확인
✅ 각 공제 항목 한도 초과 여부

▶ 단순히 “남편이 더 벌어서 남편 이름으로 다 넣자”는 방식은
환급에서 손해볼 수 있습니다.


마무리 정리

맞벌이 부부에게 연말정산은
각자의 공제를 따로 챙기는 게 아니라,
전략적으로 분산하는 게임
입니다.

소득 조건, 사용 패턴, 공제 항목별 한도까지
함께 검토해서 구성하면
같은 자료로도 훨씬 더 큰 환급을 받을 수 있어요.

부부가 함께 앉아
지금 이 글을 기반으로 정리해보세요.
1년의 수고가 현금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.


이 글이 마음에 도움이 되셨다면,
공감♥버튼을 눌러주시고,
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달아주세요^^
또, 주변에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이 계신다면 공유gogo!

 
728x90
LIST